TIL/2024 원티드 프리온보딩 백엔드 인턴십
[TIL] 원티드 프리온보딩 백엔드 인턴십 Week2) 8일차, 0827
ryuneng
2025. 1. 22. 00:10
반응형
✔️ 오늘 한 일
- 3차 오프라인 세션 참여
- 2주차 과제 요구사항 분석
- 역할분담
- 공공데이터 음식점 API 필드 분석
- ERD 1차 설계
- 프로젝트명 결정
👀 오늘의 이슈
- 공공데이터 경기도 음식점 필드를 분석해보자
- 배경 : 경기데이터드림의 음식점 Open API는 음식 종류별로 데이터를 제공하여 우리 팀은 일식, 카페, 패스트푸드 데이터를 수집하기로 했다. 그런데, 종류별로 제공되는 필드가 조금씩 달라서 공통된 필드 중 필요한 필드만 골라내야 했다.
- 분석 : 아래처럼 각 종류별로 사용할 필드/제외할 필드를 분석해 공통되는 필드를 작성했다.
- 결론 : 사용을 고려했지만 특정 종류에만 있는 필드는 제외하고, 공통된 필드만 추려내 총 14개의 필드를 사용하기로 했다.
* 위처럼 결정되고 나서 활용할 공공데이터가 경기도에서 서울로 바뀐 건 함정 .. Haha
💡 Today I Learned
1. JWT 데이터 요청 응답 토큰 사용법에 대해 학습했다.
- 회원가입 후 로그인을 하면 JWT 토큰이 생성된다.
- 로그인 응답의 Header에는 생성된 토큰이 포함된다.
- 아래와 같은 return값을 반환하도록 구현하며,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return ResponseEntity.ok().header("AUTHORIZATION", "Bearer " + jwtToken).body("로그인이 완료되었습니다.");
- 유저 인증이 필요한 API 요청 시, Postman에서 Authorization Type을
Bearer Token
으로 설정하고, Token 입력란에생성된 토큰
을 입력하면 된다.
JWT 토큰 사용법 뿐만 아니라 JWT 자체에 대해서도 더 공부해야겠다.
2. 인증서버, 자원서버
- 인증서버 : 사용자의 로그인, 회원가입, 인증 및 인가를 담당하는 서버
- 자원서버 : CRUD 작업을 통해 모든 데이터를 다루는 서버
< 해당 글은 velog에서 이전하며 옮겨온 글로, 가독성이 좋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 velog 버전 보기 : https://velog.io/@ryuneng2/TIL-원티드-프리온보딩-백엔드-인턴십-Week2-8일차-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