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터미널 명령어를 통한 과정 요약
📌 기본적인 GitHubFlow 방식의 pull & push 과정
git add * > git commit > git pull upstream dev > git push origin main > 깃허브 PR 생성dev 브랜치로 보내기
+ 커밋 없이 pull만 받고 싶을 때
git stash > git pull upstream dev > git stash pop
+ 커밋 없이 pull 받은 후 commit까지하고 싶을 때
git stash > git pull upstream dev > git stash pop > git add * > git commit > git pull upstream dev > git push origin main > 깃허브 PR 생성
📌 GitHubFlow 방식의 Pull & Push 과정 들여다보기
* 설명은 팀장의 저장소가 아닌 Fork를 받은 팀원의 저장소 기준이다.
- 인텔리제이 사이드바의 commit 탭 > add & commit
- 터미널 > git pull upstream dev 명령어 입력
- git push origin main 명령어 입력
- 본인 깃허브 리포지토리 > Pull requests > New pull request 로 PR 생성
- PR 생성 시 반드시 관리자 dev 브랜치로 변경하여 작성
(관리자의 main 브랜치는 프로젝트 완성 시 merge 예정)
< 해당 글은 velog에서 이전하며 옮겨온 글로, 가독성이 좋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 velog 버전 보기 : https://velog.io/@ryuneng2/GitHubFlow-협업-Pull-Push부터-PR생성까지
'Project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Jira] Jira-GitHub 연동 및 이슈 템플릿 생성하는 방법 (Jira API 토큰 생성) (0) | 2025.01.24 |
---|---|
[GitHub] 깃허브 Issue & PR Template 설정하는 방법 (0) | 2025.01.23 |
[Git] Git Commit Template 설정 방법 (1) | 2025.01.23 |
[GitHub] WebHook을 통해 Discord와 GitHub 연동하기 (0) | 2025.01.23 |
[Spring Boot] 카카오페이 API 연동 - 팝업창 띄우기 및 결제승인까지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