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c16 AWS ElastiCache 세팅 AWS 인프라 구성 과정에서 AWS ElasticCache 세팅하는 방법을 정리해본다.1. AWS > ElasticCache 검색 및 진입2. 지금 시작 > Redis OSS 클릭3. 클러스터 설정클러스터란? 여러 캐시 서버(노드)를 이루는 한 단위의 그룹아래처럼 설정 후 다음 클릭4. 보안그룹 생성0) 기존 창 그대로 둔 상태에서1) EC2 진입 (우클릭해서 새 탭 or 새 창에서 열기)2) 보안 그룹 메뉴 클릭3) 보안 그룹 생성 클릭4) 보안 그룹 정보 작성 및 생성보안 그룹 이름, 설명 원하는 대로 작성인바운드 규칙포트 범위 6379소스 Anywhere IPv4아웃바운드 규칙은 설정하지 않고 보안 그룹 생성 클릭5) 보안 그룹 생성 완료5. ElasticCache 보안 그룹 선택1) 다시 이전창 .. 2025. 1. 25. 부하 테스트의 기본 개념, Windows K6 설치 방법 ❓ 부하 테스트란?부하 테스트란, 임계값 한계에 도달할 때까지 시스템의 부하를 지속적으로 꾸준히 증가시켜 시스템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부하 테스트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 Throughput서비스가 1초 당 처리할 수 있는 작업량* 단위 : TPS(Transaction Per Seconds, 1초 당 처리한 트랜잭션의 수)만약 내가 만든 서비스가 1초에 최대 100개의 API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면,이 서비스의 Throughput은 100 TPS 라고 얘기한다.⚙️ 부하 테스트를 위한 환경 세팅❔ K6높은 정확도와 고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부하 테스트 툴사용자인 척 요청을 보내는 툴이다.✔️ Windows K6 설치 방법1. 관리자 모드로 PowerShell 실행2. Chocolatey 패키.. 2025. 1. 25. [MySQL] 대량의 더미 데이터를 생성하는 로직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마다 수작업으로 여러 건의 더미 데이터를 생성하는 작업이 번거로웠는데,강의를 통해 대량의 더미 데이터를 쉽게 생성하는 방법을 알게 되어 정리해본다.간단한 쿼리만 실행하면 1,000,000건의 데이터도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더미 데이터 생성 쿼리 실행데이터베이스 콘솔창에서 아래와 같은 형식의 쿼리를 작성 후 실행하면 된다.해당 로직은 MySQL 8.0 이상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높은 재귀(반복) 횟수를 허용하도록 설정-- (아래에서 생성할 더미 데이터의 개수와 맞춰서 작성하면 된다.)SET SESSION cte_max_recursion_depth = 1000000;-- boards 테이블에 더미 데이터 삽입INSERT INTO boards (title, con.. 2025. 1. 25. [GitHub] velog와 GitHub 연동하기 (velog 글 작성 시, 자동으로 깃허브에 커밋하는 방법) 이미지가 많아서 스크롤이 길지만, 진행해보면 생각보다 간단하니 잘 따라해보자!1. GitHub > Repository 생성Public으로 생성2. update_blog.yml 파일 생성> GitHub action 작성0) creating a new file 클릭1) 파일 경로 : .github/workflows/update_blog.yml> 이대로 작성하면 폴더도 자동으로 함께 생성됨2) 내용name: Update Blog Posts on: push: branches: - [1.브랜치명] # 또는 워크플로우를 트리거하고 싶은 브랜치 이름 schedule: # 테스트를 원한다면, `한국 표준시 = UTC + 9` 참고해서 시간 수정한 후 테스트해보기 - cron: '.. 2025. 1. 24. [GitHub] 로컬에서 깃허브 원격 저장소 변경하는 방법 포트폴리오를 보완하면서 팀 프로젝트의 GitHub 리포지토리를 Fork받아 코드를 수정하고 Push해야 하는 상황이 생겼다.이 때, Local에서 기존 프로젝트에 연결된 GitHub 저장소를 Fork받은 저장소로 변경하는 방법을 정리해본다.1. IntelliJ에서 변경하려는 프로젝트 오픈* 인텔리제이 아니어도 무관2. 새 GitHub 저장소 URL 복사GitHub > 새로운 Repository > 클론 URL 복사https://github.com/[username]/[repository].git3. 기존 Git 원격 저장소 변경터미널 > 프로젝트 경로에서 아래 명령어 입력1) git remote -v : 현재 원격 저장소의 URL 확인2) git remote set-url origin [새로운 저장소 U.. 2025. 1. 24. [gRPC] gRPC란? RPC(Remote Procedure Calls)란?다른 컴퓨터에 있는 기능을 마치 로컬에서 실행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 gPRC (Google Remote Procedure Calls)구글에서 만든 RPC 프레임워크Stub 객체는 서버의 대리인 역할을 한다. Stub을 통해 원격 서버의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으며, 마치 로컬의 객체처럼 사용할 수 있다.즉, 클라이언트는 서버나 통신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 필요 없이 로컬 함수처럼 원격 기능을 쉽게 호출할 수 있다.gRPC는 프로토콜 버퍼(Protocol Buffers)를 사용해, 정의된 사양에 따라 언어와 환경이 다른 시스템 간에도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proto 파일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주고받을 메시지 형식에 대.. 2025. 1. 2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