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ckEnd/Java

[Java] 접근 제어자(access modifier) (Feat. 캡슐화)

by ryuneng 2025. 1. 15.
반응형

# 목적

: 접근 제어자(access modifier)의 종류와 접근 범위에 대한 간단 기록


접근제어자(access modifier)의 종류

: 하나의 대상에 아래 4개 중 1개 사용 가능

  • private :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
  • (default) : 같은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 가능
  • protected : 같은 패키지 내에서, 그리고 다른 패키지의 자손클래스에서 접근 가능
  • public : 접근 제한 전혀 없음

접근 범위 표

제어자 같은 클래스 같은 패키지 자손 클래스 전 체
private O      
(default) O O    
protected O O O  
public O O O O
* class에 public을 붙일 때 - 소스파일의 이름과 클래스명이 같아야 함

# 접근 제어자를 사용하는 이유 (feat. 캡슐화)

: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고, 올바른 사용 유도를 위해서 (-> 캡슐화)

# 캡슐화의 장점

  1. 객체의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2.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진다.
  3. 유지보수성이 좋아진다.




* 참고 : 유튜브 [자바의 정석 기초]


 


< 해당 글은 velog에서 이전하며 옮겨온 글로, 가독성이 좋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 velog 버전 보기 : https://velog.io/@ryuneng2/Java-접근제어자-modif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