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목적
- Spring에서 의존성 주입받는 방법 정리
1. @Autowired
@Service
public class UserService {
@Autowired
private UserMapper userMapper;
}
2. @RequiredArgsConstructor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Mapper userMapper;
}
- 위처럼 정의 시, RequiredArgsConstructor가 final로 정의된 멤버변수를 아래처럼 생성자로 만들어줌
- final은 반드시 값이 들어있어야 하는데, 직접적인 변경이 불가함
변경하기 위해서는 생성자 메서드를 통해 딱 한 번 변경 가능
- final은 반드시 값이 들어있어야 하는데, 직접적인 변경이 불가함
@Service
public class 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Mapper userMapper; // 선언만 했기 때문에 값이 null인 상태
public UserService(UserMapper userMapper) { // 생성자 메서드를 통해 값 초기화(변경) 가능
this.userMapper = userMapper;
}
}
< 해당 글은 velog에서 이전하며 옮겨온 글로, 가독성이 좋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 velog 버전 보기 : https://velog.io/@ryuneng2/Spring-의존성-주입-방법
'BackEnd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Spring Security 설정하기(FilterChain 처리 과정) (0) | 2025.01.18 |
---|---|
[Spring] 스프링 시큐리티(Spring Security) (0) | 2025.01.17 |
[Spring] Model에 값을 저장하는 방법 2가지(Form클래스), 폼 입력값 유효성 체크 (0) | 2025.01.17 |
[Spring] 폼 입력값 유효성 체크 (1) | 2025.01.17 |
[Spring] 애플리케이션 로깅(Logging)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