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ckEnd/Java

[Java] 원시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타입(Reference type) - 용어 정리

by ryuneng 2025. 1. 15.
반응형

# 목적

: JAVA의 Data type 알아보기
- 원시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타입(Reference type) 구분


1. 원시타입(Primitive type)

= 기본자료형

  1. boolean (true/false)
  2. Numeric (숫자)
    1) Integer (정수형)
    타입 메모리 크기 초기값 범위
    byte 1byte 0 -128 ~ 127
    short 2byte 0 -32768 ~ 32767
    int 4byte 0 -2,147,483,638 ~ 2,147,483,647
    long 8byte 0.L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char(문자형) 2byte '\u0000' ASCII코드 : 0~127 / 유니코드 : 0~65536
    2) Floating-point (실수형)
    타입 메모리 크기 초기값
    float 4byte 0.0F
    double 8byte 0.0
* 같은 정수/실수임에도 타입이 여러개인 이유 :
컴퓨터 램의 용량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여러 타입으로 구분하여 사용


2. 참조타입(Referene type)

= 참조자료형
(기본타입을 제외한 모든 타입)

  1. class
  2. interface
  3. enum (열거)
  4. Array (배열)


* 기본타입 변수와 참조타입 변수의 차이점

1. 기본 타입 변수
: 변수의 실제 값이 들어있다. (기본값 null 사용 불가)
ex) int price = 30; -> 변수 : pirce / 값 : 30
ex) double num = 120.5; -> 변수 : num / 값 : 120.5

2. 참조 타입 변수
: 변수의 주소값이 들어있다. (기본값 null 사용 가능)
ex) String name = "홍길동"; -> 변수 : name / 주소값에 "홍길동"이 저장
ex) String id = "hong"; -> 변수 : id / 주소값에 "hong"이 저장

* String은 class로, 참조 타입에 해당
* class는 대문자로 시작해야 한다.
* 기본값 = 초기값

* 참고 : 유튜브 [자바의 정석 기초]


 


< 해당 글은 velog에서 이전하며 옮겨온 글로, 가독성이 좋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 velog 버전 보기 : https://velog.io/@ryuneng2/Java-원시타입-참조타입-용어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