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BackEnd/Database13

[DB] Join(조인) # 목적- Join 문법 및 종류에 대한 간단 정리Join 이란?- 데이터베이스에서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연결지어서 데이터를 조회하는 작업Join 문법1. Oracle Join- 오라클에서만 사용되는 문법- 형식)SELECT A.컬럼명, B.컬럼명FROM 테이블1 A, 테이블2 BWHERE A.컬럼명 = B.컬럼명;2. ANSI Join- RDBMS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표준 문법- 형식)SELECT A.컬럼명, B.컬럼명FROM 테이블1 A JOIN 테이블2 BON A.컬럼명 = B.컬럼명;Join의 종류* 아래부터 모든 예시는 Oracle Join 방식으로 작성함1. 등가조인(Equi Join)- 조인 조건에서 Equal (=) 연산자를 사용하는 조인 방식- 조인에 참여하는 테이블에서 특정 컬럼이.. 2025. 1. 20.
[DB] Oracle의 내장함수 - 그룹함수(다중행 함수)와 GROUP BY(그룹화) # 목적: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그룹함수(다중행 함수)와 GROUP BY(그룹화)에 대한 간단 정리그룹함수 란?- 조회된 행들의 집합그룹에 적용되어 그룹 당 하나의 결과를 생성하는 함수* 집합그룹 : 테이블 전체 또는 그룹화된 테이블의 행들- 그룹함수 사용 시 주의사항1) WHERE절에서 사용 불가2) 그룹함수와 컬럼명(혹은 표현식)을 SELECT절에 같이 적을 수 없음* 단, GROUP BY절에 등장한 컬럼명(혹은 표현식)은 그룹함수와 같이 SELECT절에 적을 수 있음3) 그룹함수의 중첩은 한번만 허용그룹함수의 종류1. COUNT(*)- 조회된 모든 행의 갯수 반환2. COUNT(컬럼명)- 조회된 행에서 지정된 컬럼의 값이 NULL이 아닌 행의 갯수 반환3. SUM(컬럼명)- 조회된 행에서 지정된 컬.. 2025. 1. 20.
[DB] Oracle의 내장함수 - 단일행 함수 # 목적: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내장함수 종류와 단일행 함수에 대한 정리오라클 내장함수의 종류1. 단일행 함수- 조회된 행마다 하나의 결과를 반환- 중첩해서 사용 가능- 종류1. 문자함수 : 문자를 입력값으로 받아서 계산한 결과를 반환2. 숫자함수 : 숫자를 입력값으로 받아서 계산한 결과를 반환3. 날짜함수 : Date 타입의 값에 대한 처리를 수행4. 변환함수 : 데이터의 타입을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5. 기타함수 : nvl, case, decode 등의 함수2. 다중행 함수(그룹함수)- 조회된 행을 그룹으로 묶고 행 그룹당 하나의 결과를 반환- group by 절을 사용해서 조회된 행을 그룹으로 묶고 다중행 함수로 각 그룹당 하나의 결과(합계, 평균, 분산, 표준편차, 최고값, 최저값) 등을 계산해냄단.. 2025. 1. 20.
[DB] Oracle의 데이터 타입 # 목적: Oracle의 주요 데이터 타입 간단 정리Oracle의 주요 데이터 타입1. VARCHAR2(size)- 가변길이 문자 데이터, 최대값: 4000byte- size 범위 내에서 실제 데이터의 크기만큼만 저장공간 사용- ex) 이름, 주소, 과목명, 상품명, 뉴스제목2. CHAR(size)- 고정길이 문자 데이터, 최대값: 2000byte- 무조건 size 크기만큼의 저장공간 사용- ex) 주민번호, 학번, 수강과목코드3. LONG- 가변길이 대용량 문자 데이터, 최대값: 2GB- 현재 사용빈도 낮음- 테이블 당 하나만 사용 가능- 제약조건 정의 불가- order by나 group by에 포함 불가4. CLOB- 가변길이 대용량 문자 데이터(Character Large Object), 최대값: .. 2025. 1. 20.
[DB] SQL의 CRUD 구현 쿼리 (Feat. DML) # 목적: SQL의 CRUD 구현 쿼리와 사용예시 간단 정리CRUD 란?- Create(생성), Read(읽기), Update(갱신), Delete(삭제)의 약자- 데이터베이스를 다루기 위한 4가지 작업SQL의 CRUD 구현 쿼리- SQL에서는 DML을 이용해 CRUD 작업을 구현함- MVC패턴에서 DML을 구현하는 클래스 : DAO(Data Access Object) 클래스*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 언어) - SQL 명령어- CRUD / DML 비교CRUD 이름기능DML 명령어Create생성INSERTRead읽기SELECTUpdate갱신UPDATEDelete삭제DELETESQL 주요 쿼리1. SELECT- 테이블의 데이터 조회- 사용법)-- 1. 지정된 테.. 2025. 1. 20.
[DB] JDBC 개념 # 목적: JDBC에 대한 기초 개념 정리JDBC 란?- Java DataBase Connectivity- 자바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서 SQL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java.sql 패키지와 javax.sql 패키지에 관련 인터페이스와 클래스가 존재함JDBC API의 주요 객체1. Connection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객체2. PreparedStatement 인터페이스: SQL의 전송과 실행을 담당하는 객체3. ResultSet 인터페이스: 조회결과를 포함하고 있는 객체Java의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절차오라클 jdbc driver를 로딩해서 드라이버 레지스트리에 등록시킨다.드라이버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오라클 jdbc driver를 이용해서오라클 데이터베이스와 연결을 .. 2025. 1. 19.